티스토리 뷰

목차



    728x90
    반응형

     

    개인적으로 좋아했던 웹툰 [윈드 브레이커]가 논란의 중심에 섰네요. 자전거 레이싱이라는 소재도 마음에 들었고 무엇보다 캐릭터가 입고 나오는 스트릿 패션을 좋아했었는데요. 안타깝게도 여러 이슈에 함께 휘말리며 연재 중단이라는 극적인 결말을 맞이했습니다.

     

    물론 트레이싱을 옹호하는 것은 아닙니다. 남들이 하지 말아야 한다면 하면 안되겠죠. 그것도 국내 플랫폼 1위에서 당당히 연재되는 작품이라면 더욱더. 

     

    다만, 제가 안타깝다고 하는 점은 이번 트레이싱 논란에서 논란의 중심에 선 작기&작품이 아님에도, 작품의 팬 입장에서 연재 중단이라는 결과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 가슴아파서입니다.

     

    논란의 중심에 선 작품과 작가는 개인적으로 한번도 본적도 없는지라 딱히 언급하지 않습니다.

     

    [윈드 브레이커] 트레이싱 논란

    네이버 웹툰 <윈드 브레이커>는 스포츠 장르, 특히 자전거 레이싱을 소재로 한 인기 웹툰입니다. 2013년부터 연재되어 왔으며, 탄탄한 스토리와 세밀한 작화로 많은 독자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청소년부터 성인까지 폭넓은 팬층을 확보하며 네이버 웹툰 스포츠 부문에서 대표작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특히 레이스 장면의 역동적인 묘사와 캐릭터들의 개성 있는 심리 표현이 돋보였습니다.

     

    그러나 최근 ‘트레이싱’ 의혹이 불거지면서 작품과 작가 모두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트레이싱 논란 왜?

    트레이싱이란 기존의 사진, 만화, 일러스트 등을 밑그림 삼아 그대로 혹은 거의 유사하게 따라 그리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는 창작물 표절과 유사한 논란을 낳으며, 저작권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윈드 브레이커>의 일부 장면이 다른 작가나 상업 사진 등에서 트레이싱한 정황이 팬들과 웹툰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제기되었습니다. 특히 자전거와 인물의 자세, 배경 묘사가 외부 자료와 매우 유사하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습니다. SNS와 포털 커뮤니티에 트레이싱 의혹을 입증하는 비교 이미지가 빠르게 확산되었습니다.

     

    N플랫폼의 대응

    트레이싱 의혹이 확산되자 네이버 웹툰 측은 사실 관계 확인에 나섰으며, 작가 측에도 공식 입장을 요구했습니다. 작가는 일부 자료를 참고한 것은 인정했지만, ‘완전한 트레이싱은 아니었다’고 해명했습니다.

     

    그러나 대중의 비판은 쉽게 사그라들지 않았고, 웹툰 업계 내부에서도 저작권과 윤리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졌습니다. 결국 네이버는 작품 연재를 무기한 중단한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로 인해 팬들은 큰 아쉬움을 표했고, 일부는 작가를 옹호하는 목소리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투명한 조사와 재발 방지를 요구했습니다.

     

     

     

    +

    사실 이번 사건은 수차례 발생되었음에도 암암리에 몰래 빠져나가던 논란의 작가들이 더 문제가 되어야 하지 않냐는 것이 저의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그동안 많은 작가들이 남의 작품을 베끼다 걸리고는 이름을 바꾸고 다시 등장하거나, 모른척 새로운 작품을 이어가는 모습을 종종 봐왔습니다.

     

    그럴때만해도 N사에서는 크게 문제를 삼지 않았는데......우리가 모르는 어떤 문제가 더 있기에 작품이 내리기까지 하다니.

     

    하지만.

     

    그런 개인적인 의견과는 별개로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 보호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려주는 사건이라고 봅니다. 작가 개인뿐만 아니라, 플랫폼과 팬 모두가 눈감고 아웅하듯이 넘길 일이 아니라, 건강한 콘텐츠 생태계를 위해 신경써야 한다고 봅니다.

     

    충분히 시간이 지나고 건강하고 문제없는 더 좋은 작품을 보고 싶네요.

     

    반응형